* Bold English *

내 아이의 리딩 레벨은 어떻게 알까? 반곡동영어학원 | 볼드영어

Bold English 2024. 10. 5. 14:39
반응형

안녕하세요.

원주 혁신도시 반곡동영어학원,

푸른숨10단지와 푸른숨9단지 사이에 자리잡은 볼드영어(Bold English)입니다.

 

 

LEDDI 온라인 도서관에 들어가서 책을 검색하면, 책의 리딩지수가 나오는데요.

 

 

 

 

오늘은 가장 대표적인 리딩레벨(Reading Level) 인 AR과 Lexil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 

영어 원서를 읽을때, 학생들이 적절한 난이도의 책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그렇다면, AR과 Lexile 이 두가지는 어떻게 다를까요?

 

 

1. AR (Accelerated Reader)

AR은 Renaissance에서 만든 지표로, 학생들의 독해 수준을 측정하고, 그에 맞는 책을 추천하는 프로그램입니다.

AR에서는 책마다 Book Level (BL)이라는 숫자로 책의 난이도를 표시합니다. 이 BL은 책의 문장 길이, 어휘의 복합성 등을 바탕으로 책이 몇 학년 수준에 적합한지 나타냅니다. 예를 들어, BL4.5는 4학년 5개월 수준의 학생들에게 적합하다는 뜻입니다.

 

또한 학생들은 책을 읽은 후 AR 퀴즈를 통해 독해력을 점검할 수 있습니다. 퀴즈에서 얻은 점스로 AR Point가 부여되며, 이는 학생들의 성취를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. AR시스템은 선생님들이 학생들의 독서 활동을 추적하고 격려할 수 있는 도구로 많이 사용됩니다.

 

아래를 클릭하면 책의 AR지수를 찾을수 있어요.

https://www.arbookfind.com/default.aspx

 

 

2. Lexile

Lexile은 Metametrics에서 만든 지표로, 독자와 책의 난이도를 모두 측정할 수 있는 척도입니다. Lexile은 학생의 독해 수준과 책의 난이도를 숫자로 표시합니다.

이 시스템은 문장의 길이와 어휘의 난이도를 분석해 책의 난이도를 측정합니. 예를 들어, Lexile 850L은 850L 수준의 텍스트를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, 책도 그와 비슷한 난이도라는 뜻입니다.

 

Lexile 시스템은 텍스트의 복잡성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, 학년과 상관없이 특정수준의 독해 능력을 가진 학생들이 책을 찾는 데 유용합니다 또한 Lexile은 학술적인 논문이나 정보 테스트에도 적용할 수 있어서 폭넓게 사용됩니다.

 

 

그럼 차이점을 정리해볼까요?

 

 

오늘은 가장 대표적인 리딩레벨(Reading Level) 인 AR과 Lexile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 

영어 원서를 읽을때, 학생들이 적절한 난이도의 책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그렇다면, AR과 Lexile 이 두가지는 어떻게 다를까요?

 

 

1. AR (Accelerated Reader)

AR은 Renaissance에서 만든 지표로, 학생들의 독해 수준을 측정하고, 그에 맞는 책을 추천하는 프로그램입니다.

AR에서는 책마다 Book Level (BL)이라는 숫자로 책의 난이도를 표시합니다. 이 BL은 책의 문장 길이, 어휘의 복합성 등을 바탕으로 책이 몇 학년 수준에 적합한지 나타냅니다. 예를 들어, BL4.5는 4학년 5개월 수준의 학생들에게 적합하다는 뜻입니다.

 

또한 학생들은 책을 읽은 후 AR 퀴즈를 통해 독해력을 점검할 수 있습니다. 퀴즈에서 얻은 점스로 AR Point가 부여되며, 이는 학생들의 성취를 측정하는데 사용됩니다. AR시스템은 선생님들이 학생들의 독서 활동을 추적하고 격려할 수 있는 도구로 많이 사용됩니다.

 

아래를 클릭하면 책의 AR지수를 찾을수 있어요.

https://www.arbookfind.com/default.aspx

 

 

2. Lexile

Lexile은 Metametrics에서 만든 지표로, 독자와 책의 난이도를 모두 측정할 수 있는 척도입니다. Lexile은 학생의 독해 수준과 책의 난이도를 숫자로 표시합니다.

이 시스템은 문장의 길이와 어휘의 난이도를 분석해 책의 난이도를 측정합니. 예를 들어, Lexile 850L은 850L 수준의 텍스트를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, 책도 그와 비슷한 난이도라는 뜻입니다.

 

Lexile 시스템은 텍스트의 복잡성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, 학년과 상관없이 특정수준의 독해 능력을 가진 학생들이 책을 찾는 데 유용합니다 또한 Lexile은 학술적인 논문이나 정보 테스트에도 적용할 수 있어서 폭넓게 사용됩니다.

 

 

그럼 차이점을 정리해볼까요?

 

 

AR책의 난이도를 학년 수준에 맞춰 제공하며, 학생들이 퀴즈를 통해 독해력을 평가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.

주로 학교에서 독서관리와 동기부여를 위해 사용됩니다.

Lexile은 문장의 복잡성을 바탕으로 책과 독자의 독해 능력을 숫자로 평가하며, 학년보다는 독자의 독해력에 초점을 둡니다.

학술적인 글이나 정보 텍스트에도 적용됩니다.

 

이 두 시스템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책과 학생들의 독해 능력을 평가하지만, 공통적으로 학생들이 자시니에게 맞는 책을 선택하는 데 도움을 주는 유용한 도구입니다.

 

 

 

영국 초등학교를 다니는 아이들은 요런 납작한 SCHOOL BOOK BAG을 가지고 다니는데요.

매일 선생님들이 아이의 레벨에 맞춰 집에 갈때 책을 꼭 한 두권씩 넣어주십니다. 그리고 북통장같은 곳에 항상 기록을 합니다.

레벨이 올라가면 책도 물론 바꿔주시구요.

 

 

 

 

 

그렇다면, AR이나 Lexile지수가 없는 책이거나 그냥 쉽게 직관적으로 엄마가 직접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?

있습니다.

 

 

그게 바로 Five-finger rule입니다

 

Five Finger Rule
아이들이 자신에게 맞는 책의 난이도를 쉽게 판단할 수 있게 도와주는 방법

 

 

방법은 간단합니다.

아이가 읽고 싶은 책을 고릅니다.

그리고 아무 페이지나 펼칩니다. 그림보다는 글이 좀 있는 페이지가 있는게 좋습니다.

이제 그럼 그 페이지를 읽으면서 모르는 단어나 어려운 단어를 만날때마다 손가락을 하나씩 접습니다.

한 페이지를 다 읽기전에 다섯 손가락 이상 접히면, 그 책은 아이에게 너무 어려울 수있습니다.

이 방법은 아이가 독립적으로 읽을 수 있는 책을 선택할 때 도움을 주는 아주 간단한 자기 평가 도구입니다.

 

 

 

 

이제 여기까지 읽으셨다면, 지금 아이와 같이 책을 읽어보는건 어떨까요?