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.
푸른숨10단지와 푸른숨9단지 사이에 자리잡은 #반곡동영어학원 #원주볼드영어 (Bold English)입니다.
버들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첫 영어 시험이 마무리되었습니다.
처음 치르는 중학교 시험이라 걱정이 많았을 텐데, 다들 정말 고생 많았어요.
오늘은 이번 영어 시험을 분석해보고, 앞으로 어떻게 준비하면 좋을지 함께 나눠보려고 해요. 😊
📚 시험 개요
- 과목: 영어 (동아윤 윤정미)
- 시험 범위: 1과, 2과
- 문항 수:
- 선택형 18문항 (73점)
- 서답형 4문항 (27점)
- 듣기 평가: 없음
- 총점: 100점
✏️ 주요 출제 유형과 특징
이번 시험은 전반적으로 교과서 중심으로 출제되었고, 난이도는 비교적 쉬운 편이었어요.
학교에서 배부한 프린트물과 교과서만 성실히 공부해도 충분히 고득점이 가능한 시험이었습니다.
✅ 대표 출제 유형
- 교과서 대화문 그대로 출제
- 이어질 문장 찾기
- 대화문 순서 배열
- 대화 내용 일치 확인
- 빈칸 문장 채우기
- 지문 이해 문제
- 지문 속 단어를 영어로 바꾸기
- 내용 일치 고르기
- 대명사가 가리키는 대상 찾기
- 문법 문제
- be동사/일반동사의 현재형 부정문, 의문문 만들기
- 수일치 확인
- 진행형 불가 동사 판단
- 조동사(can, will)의 뉘앙스 파악
- 어휘 및 표현
- unlike, either, right now 같은 표현 고르기
- 영영풀이 문제
✍️ 서답형 문항 분석 (총 27점)
- 문장 전환
- 일반동사 포함 문장을 의문문으로 바꾸기 (2문제)
- 표를 보고 작문
- 주어진 단어를 활용한 영작 (2문제)
- 문법 오류 수정
- 잘못된 문장을 바르게 고치기 (2문제)
- 현재진행형 의문문 만들기
- 문장 구조에 맞게 만들기 (2문제)
→ 전부 수업 중 다뤘던 유형이며, 교과서 예문을 바탕으로 한 문제가 대부분이에요.
🌱 볼드영어 학생들에게
이번 시험을 통해 느낀 점은, 단순히 알고 있는 것이 아니라 꼼꼼하게 문제를 읽고 이해하는 연습이 꼭 필요하다는 거예요.
문제가 쉬워 보여도, 주의 깊게 읽지 않으면 실수할 수 있어요.
우리 아이들이 교과서 속 문장을 충분히 이해하고, 그 표현을 적극적으로 말하고 써보는 훈련이 병행되면 더 좋을 거예요.
🌟 앞으로의 공부 방향
✔ 교과서 예문을 그대로 암기하지 말고, 구조와 의미를 파악하며 익히기
✔ 학교 프린트물은 무조건 복습
✔ 문법은 단순한 암기가 아니라, 문장 속에서 자연스럽게 익히기
✔ 대화문 문제는 꼭 소리 내어 읽어보기 – 자연스러운 흐름을 파악하는 데 좋아요!
📌 중학교 내신, 단기 목표가 아닌 ‘기초 점검’으로 보기
중학교 내신은 전반적으로 단편적이고 난이도가 낮은 편입니다.
단기적으로는 성취감을 줄 수 있지만, 고등학교 영어의 절대평가, 내신 경쟁, 수능 독해 난이도를 고려하면 지금부터 더 깊이 있는 학습이 필요해요.
지금은 단순히 점수를 쫓기보다,
- 문법 개념을 정확히 이해하고 문장에 적용하는 훈련
- 지문을 해석할 수 있는 독해 실력
- 자신 있게 표현할 수 있는 쓰기와 말하기 능력
을 차근차근 쌓아가는 것이 더 중요하답니다.
볼드영어는 아이들이 그저 점수에 일희일비하지 않고, 자신의 영어 실력을 탄탄하게 다져나갈 수 있도록 함께 걷는 곳이에요.
시험은 끝났지만, 이제는 우리가 무엇을 잘했고, 무엇을 더 보완해야 할지 점검할 때예요.
볼드영어 친구들 모두, 첫 중학교 영어 시험 정말 수고 많았어요!
다음 시험은 더 자신감 있게 맞이할 수 있도록, 지금부터 조금씩 준비해 나가요. 😊
아이들 모두 정말 잘해냈고, 더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해요. 😊
'* Bold English *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반곡동영어학원 비 오는 토요일, 조용한 학원에서의 준비 시간 ☔📚 (0) | 2025.05.10 |
---|---|
📚 한 권의 독해책을 끝낸 날, 아이가 가져간 묶음의 의미 (0) | 2025.05.09 |
반곡동영어 📚 파닉스 수업 이야기: 장모음을 배우는 우리 친구들! (0) | 2025.04.26 |
반곡동영어🎬 Elemental과 함께하는 팝송 수업 – Steal the Show 프로젝트 (0) | 2025.04.20 |
반곡동영어 아이를 믿는다는 것 – ' The Let Them Theory'를 읽고 교육을 다시 생각하다 (0) | 2025.04.15 |